토폴로지
vmware 가상머신 생성
단축키
1
2
3
4
5
6
7
8
9
10
11
12
|
Ctrl-B : 전원 켜기
Ctrl-E:전원 끄기
Ctrl-R:전원 리셋
Ctrl-Z:일시 정지
Ctrl-N 새로운 가상머신 열기
Ctrl-O 기존의 가상머신 열기
Ctrl-F4 현재 가상머신 닫기
Ctrl-D 가상머신 설정 편집
Ctrl-G 키보드와 마우스로부터의 입력 잡기Ctrl-P 속성 편집
Ctrl-Alt-Enter 전체화면
Ctrl-Alt 일반 (windowed) 화면
Ctrl-Tab 가상머신들 사이를 전환.
|
cs |
Hypervisor : vmware, virtualbox, Hyper-V
이 Hyperviosr 위에 OS를 까는게 가상화 환경
현재 4개의 가상머신이 있음
프로세서 설정은 2코어에 코어당 프로세스 1개
왠만하면 1코어로 안돌아감
bridged : 실제 컴퓨터의 랜카드처럼 사용 ex) DHCP 할당시 PC .1, 가상머신 .2
NAT : 외부랑 통신할 때 정해진 대역대로 변환해서 통신 (따라서 외부에서 접근 불가)
ex) 192.168.10.0 대로 NAT 설정 => vmware에서 NAT를 사용하면 해당 대역대로 외부랑 통신함
Host-only : 가상머신에 가상머신 전용 NIC를 추가하는 개념 (외부랑 통신 불가, PC 내에서만 통신 가능)
디스크 슬롯 형태
그냥 SCSI
single file이 더 성능이 좋음
multiple files는 공간이 절약되는 대신 자원을 공유해서 성능이 줄어듬
Virtual Network 설정
그리고 해당 토폴로지에 맞게 각각 vmware 네트워크 설정
Main-Server : NAT, VMnet1
Slave-Server : NAT, VMnet2
Router : NAT, VMnet1, VMnet2
Client1 : VMnet2
(NAT는 외부 통신용)
네트워크 설정 후
ip 부여
Main-Server : .10
Slave-Server : .20
Router : .254, .254
Client1 : .10
root 계정 설정 (root/123)
네트워크 어댑터 추가 (CLI)
vi /etc/network/interfaces
1
2
3
4
5
6
7
8
9
10
11
|
#Main-Server
#NAT
auto ens33
iface ens33 inet dhcp
#host-only
auto ens37
iface ens34 inet static
address 22.1.24.10
netmask 255.255.255.0
gateway 22.1.24.254
|
cs |
네트워크 서비스 재시작
service networking restart
네트워크 어댑터 up/down (∴네트워크 우선순위)
ifdown ens33
만약 안되면 다시 dhcp로 다시 받아주기
dhclient 37
위와 같이 다른 가상머신도 세팅
20.04 LTS면
네트워크 어댑터 추가 (CLI)
vi /etc/network/netplan/00~~~~~
1
2
3
4
5
|
#Slave-Server
ethernets:
ens33:
addresses: [22.1.24.20/24]
gateway4: 22.1.24.254
|
cs |
컨피그 확인
netplan try
컨피그 적용
netplan apply
'사이버보안 기능대회 > 3과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서버 - Day06 Vitual Host (0) | 2022.02.08 |
---|---|
서버 - Day05 포트포워딩, SSH RSA 인증서 (0) | 2022.02.04 |
서버 - Day04 NAT (0) | 2022.02.03 |
서버 - Day03 user 생성, ssh 유저, DNS 정/역방향 (0) | 2022.01.28 |
서버 - Day02 : ssh, web, iptables (0) | 2022.01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