토폴로지 변경됨 (Client 사이드에 C_Server 추가, 라우터 추가)
Client_Server 추가 (+apache2, ssh 설치)
Slave-Server에서 DNS 설정
라우터 추가
Host-only 네트워크 추가 (VMnet3)
각 라우터 네트워크 어댑터 설정 후
Router : 22.1.24.254, 10.0.0.1
Router2 : 192.168.10.254 10.0.0.2
라우팅 설정
개념은 정적라우팅과 동일
ex) route add -net 192.168.10.0 netmask 255.255.255.0 gw 10.0.0.2 (Router)
192.168.10.0 으로 가는 패킷은 10.0.0.2로 보내준다.
NAT 설정
Router2에 설정
Router에 추가한 명령어 삭제 or 재부팅
Router2
iptables -t nat -A POSTROUTING -o ens34 -j MASQUERADE
(ens34의 ip로 nat해주겠다)
확인
Client에서 Main-Server로 ping을 보냈을 때 (성공)
Wireshark로 확인해보면 VMnet2에서 192.168.10.10이 22.1.24.10으로 보낸다.
VMnet3에서는 192.168.10.10이 10.0.0.2로 바뀌어서 22.1.24.10과 통신하는것을 확인할 수 있고
VMnet1에서는 REQUEST를 받고 REPLY를 보내주기 위해 10.0.0.2로 보내준다.
VMnet3에서는 22.1.24.10가 10.0.0.2로 REPLY를 해주고
VMnet2에서는 10.0.0.2로 되어있었던 Dest가 192.168.10.10으로 바뀌어서 통신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Client에서 Main-Server로 웹 접속을 했을 때 (성공)
다음과 같이 접속이 잘 되는것을 확인 할 수 있고
Main-Server에서 access.log를 출력해보면 Client의 IP가 아닌 192.168.10.10이 아닌 NAT를 설정한 Router2의 IP 10.0.0.2로 접속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Main-Server에서 Client로 ping을 보냈을 때 (실패)
Main-Server에서 ping을 보내면 안가는것을 확인 할 수 있다.
Wireshark로 VMnet1을 보면 22.1.24.10이 192.168.10.10으로 REQUEST를 보낸다
22.1.24.254에서 192.168.10.10을 못찾아서 22.1.24.10에게 126 Destination unreachable 응답을 보낸다.
결론
그래서 NAT를 사용함으로써 ip 절약과 보안성 향상을 할 수 있다.
'사이버보안 기능대회 > 3과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서버 - Day06 Vitual Host (0) | 2022.02.08 |
---|---|
서버 - Day05 포트포워딩, SSH RSA 인증서 (0) | 2022.02.04 |
서버 - Day03 user 생성, ssh 유저, DNS 정/역방향 (0) | 2022.01.28 |
서버 - Day02 : ssh, web, iptables (0) | 2022.01.27 |
서버 - Day01 : 가상화 이론 (0) | 2022.01.25 |